(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인 연 2.0%로 15개월째 동결됐다.
12일 서울 남대문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정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통위는 통화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기준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0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총 6차례에 걸쳐 3.25%포인트 내린 후 15개월째 묶여있다.
이날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소비자물가의 안정 속에 생산과 소비, 투자 등 경기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남유럽 국가의 재정 위기 등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3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나오기 전까지 현재의 정책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히고, 청와대와 한나라당도 본격적인 출구전략 시행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돼 왔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7.8%를 기록했음에도 저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시중자금 단기화 현상이 심해지자 최근 기준금리 조기 인상론이 급부상했다.
하지만, 남유럽 국가의 재정 문제가 국내외 금융시장을 뒤흔들고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이 우려되면서 기준금리 인상론이 다소 힘을 잃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은 상당 기간 늦춰질 전망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도 3월 중순 제로 수준의 정책금리를 동결하며 상당기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지난 8일 정례 회의에서 창설 이후 최저 수준인 기준금리 1%를 11개월째 동결하겠다고 발표했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