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형욱 기자) 기아차 노조가 파업 찬반투표에서 71.9%의 찬성률로 파업을 결정했다. 단 파업 강행은 미지수다.
기아차 노조는 24~25일 소하리공장 등 전국 5개 지회 전체 조합원 3만115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벌였다. 그 결과 총 투표자 2만7528명(투표율 91.4%) 중 1만9784명이 찬성해 재적 대비 65.7%, 투표자 대비 71.9%로 가결됐다.
이에 따라 기아차 노조가 실제 파업에 나설 지 여부에 모아지고 있다.
다만 노조가 당장 행동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앞서 중앙노동위원회는 노조의 쟁의조정 신청에 대해 조정 대상이 아니라며 교섭노력을 계속하라는 행정지도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중노위 행정지도를 어길 경우 파업은 불법으로 간주된다.
노조는 조합원 투표결과를 토대로 이른 시일 내에 집행부 회의를 열어 앞으로의 투쟁 방향과 수위를 결정하기로 했다.
다만 핵심 쟁점사안인 ‘노조전임자 타임오프제’에 대해 양 측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향후 난항이 예상된다.
노조는 이에 대해 “사실상 노조를 죽이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고, 사측은 ‘전임자 처우 현행유지’는 초법적인 부분이라며 법대로 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기아차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 K5·K7·쏘렌토R 등 판매 호조를 보이는 인기 차종의 생산 차질과 출고 지연이 우려된다. 현재 K5의 대기고객은 약 2만여명이다.
ner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