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 총재는 3일 도쿄 일본은행에서 열린 '제 2차 한·중·일 3국 중앙은행 총재 정례회의' 후 일본은행 임직원을 대상으로 '금융위기와 정책대응: 한국의 관점'이란 강연을 벌였다.
그는 이 자리서 "1차적으로 자국의 금융시스템을 건전하게 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상호연계성이 높아진 글로벌 경제체제에서 GFSN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GFSN 구축을 위해 △확실성(certainty) △충분성(sufficiency) △무낙인효과(stigma-free) △도덕적 해이 최소화(minimizing moral hazard) 등의 원칙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경제상황이 각기 다른 국가들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안전망을 다양한 층위를 가진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며 "중앙은행 간 스와프 라인과 같은 개별국가 차원은 물론 국제적 차원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총재는 또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국가들이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잠재적인 위기를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새로운 GFSN 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아시아 역내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김 총재는 "선진국의 위기가 지속되고 국제적인 디레버리징이 확대됨에 따라 거시경제를 건전하게 운영하던 신흥국에까지 위기가 파급됐다"며 "신흥국들은 자국의 환율상승 용인, 외환보유고 활용, 중앙은행 간 스와프, IMF의 금융지원 등을 통해 위기에 대응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발생하는 금융위기는 글로벌 시스템 리스크에 의한 금융위기일 가능성이 높다"며 "중앙은행 간 네트워크를 강화해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열린 중앙은행 정례회의서 한·중·일 3국 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경제 및 금융 동향을 점검하고 거시건전성·금융안정·역내 협력 및 기타 공동 관심사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내년에 열리는 차기 정례회의는 한국은행이 주최할 예정이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