엥겔계수 9년만에 최고치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엥겔계수가 약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엥겔계수가 크게 오른 것은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것으로 하반기 물가 안정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고 있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국내 가계의 엥겔계수(계절조정)는 13.3%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1년 3분기의 13.8% 이후 8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 지수는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Engel)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집에서 먹고 마시기 위한 지출이 커질수록 다른 분야의 소비 여력이 줄어 경제 전체적인 창출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뜻한다. 대체로 자급 성향이 강한 1차산업 중심 국가에서 높게 나타난다.

2분기 지수가 13.3%였다면 이 기간 가계의 최종 소비지출액 145조9000억원 중에서 13.3%에 해당하는 19조4000억원가 식·음료품을 사는 데 쓰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970~1980년대 20~30%대에 이르던 한국의 엥겔계수는 소득 수준이 개선되면서 2000년대 12%대로 하락했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고 난 지난해부터 13%대로 반등했다.

최근의 엥겔계수가 오른 것은 올 들어 식료품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가격 변동 요인을 제거한 '실질' 기준으로 보면 2분기 엥겔계수는 12.6%로 2008년 이후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분기 국민총소득 증가율은 전년 동기 5.4%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신선식품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8%로 배를 웃돌았다.

문제는 엥겔계수 상승에 따른 부담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점이다.

가격이 급등한 채소·과일류에 대한 지출액이 소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소득 하위 20% 가구가 1분기 3.98%에서 2분기 5.15%로 1.17%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소득 상위 20% 가구에서는 이 비중이 2.31%에서 2.78%로 0.47%포인트 높아지는 데 그쳤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