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올 국정(운영 목표) 중에 성장과 물가 문제가 있는데, 물가에 더 심각하게 관심을 갖고 국정의 총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게 됐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오전 국민경제대책회의 발언이 경제정책 기조의 변경으로 해석된데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김 대변인은 “오늘 회의에서 물가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대체적인 공감대가 형성됐다. 그러나 이는 (경제)성장 전망은 낙관적이기 때문에 다른 쪽(물가)를 우선하자는 것이고, 대통령도 그런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즉, 정부가 올해 거시경제지표 목표치로 제시한 ‘전년대비 5% 경제성장률 달성’과 ‘소비자 물가상승률 3% 유지’엔 현재로선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오늘 회의에 보고된 ‘세계 경제동향 및 주요국 대응 방향’에서도 세계 경제는 전반적으로 회복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며 “해외 분석 기관들 역시 최근 ‘중동사태’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조정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물가는 단기적인 대책도 세워야하지만 내년, 그리고 10년 후 등 중장기적인 계획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 대통령은 “정부는 물가 문제에 대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서 국민에게 신뢰를 주는 게 중요하다”며 특히 “배추, 마늘 등 농산품은 서민생활과 직결되는 만큼 정부가 더 세심히 살펴야 한다. 작년과 같은 가격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농림수산식품부 등 관련부처가 적극적으로 세밀한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김 대변인은 “오늘 회의는 여러 어려움에도 정부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의지를 다지는 자리였다”며 “정책 기조의 변화나 거시지표 목표 수정은 없다”고 재차 밝혔다.
이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데 대해서도 “물가안정에 영향을 주기 위한 것이지만 다른 기조까지 크게 흔들리는 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기획재정부도 이날 배포한 자료에서 “정부는 최근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경제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그 경제적 영향을 점검하고 있으나, 현 단계에서 경제전망치 수정에 착수한 바는 없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