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위원장 한나라당 허태열 의원)에서 열린 ‘저축은행 부실화 원인규명 및 대책마련을 위한 청문회’에 출석해 저축은행의 수익구조상 대형화 방식으로 운영하면 수익을 내기 어렵고, 인수·합병(M&A)을 통해 저축은행의 덩치를 키워가는 게 아니라 원래 저축은행 목적대로 가야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우량 저축은행에 부실 저축은행을 매각하는 방식의 구조조정이 부실을 키웠다”는 민주당 우제창 의원의 압박에 “저축은행의 덩치를 키우는 방식의 구조조정은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잘 알지 않느냐”며 반박했다.
그는 또 “저축은행이 서민금융 기능은 강화해야 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구조조정이 일어나는 게 바람직하다”며 “비과세예금, 지점인가 등 저축은행 업계의 요구에 대해서도 같이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은 2008년 이후 PF대출의 규모가 늘어난 것을 금융당국이 단속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2조원 가량이 2008년 이후 늘었는데 PF가 턴키베이스로 돼 있는 대출은 불가피하게 사업을 실행하기 위해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모든 일에 양면이 있는 만큼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면 최근 건설사에 자금 지원이 안 되는 면도 생긴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