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광역단체 최초 경기도디자인정책 결정판‘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24 14: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경기도유니버설가이드라인 7원칙 : ACCESS+α 설정

(아주경제 허경태 기자)보도의 수평만 맞춰도 장애인, 비장애인, 남녀노소 모두의 걸음이 편안하다는 생각, 계단 끝의 디딤판 색깔만 눈에 띄게 바꿔도 넘어지는 일을 막을 수 있다는 생각, 아이의 키 높이에도 난간을 설치하자는 생각, 모두가 차별 없이 공공시설에 접근하도록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이 경기도에 도입된다.

경기도는 광역단체 최초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개발을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또한 공무원 및 시민의 이해를 돕기위해 그림 (illustrate)를 이용한 가이드북도 별책으로 제작했다.

가이드라인은 다양한 지역,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경기도의 특성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모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을 디자인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고민을 거쳐 완성됐다.

가이드라인은 공공공간, 공공건축물, 공공시설물, 도시시설물, 공공정보매체 등의 공공디자인 5분야에 걸쳐 디자인 시 고려해야 ‘차별없는 접근, ACCESS+α’의 7가지 원칙을 담고 있다.

가이드라인은 지금까지 디자인을 담당하는 행정기관이나 사업자들이 놓치고 있었던 사용자 행동특성을 기본으로 일차적으로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가능한 기본적인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 법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거나 잘못된 실행으로 인해 사용자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요소들을 찾아내어 보다 많은 사람들을 존중하고 배려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도는 지난 22일 경기도 인재개발원에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설명회를 가졌으며, 앞으로 시.군 및 도 산하기관의 사업에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이 반영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경기도 이세정 디자인총괄추진단장은 “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은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은 물론 디자인과정에서 놓치기 쉽지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작지만 중요한 요소요소들을 찾아내어 디자인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며 “많은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에 공공디자인이 일조를 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는 데에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