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차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물가안정대책회의에서 "물가상황의 심각성과 서민들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물가안정을 정책 최우선 순위에 두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우선 '1.13 서민물가안정대책'의 상반기 추진실적을 부처별로 점검하고,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제시한 20여개 정책수단을 함께 검토해 추가적인 물가안정방안을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서민생계부담이 조기에 완화될 수 있도록 물가정책을 속도감있게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3단계 진입규제 개선방안을 시행하는 등 최대한 신속하게 성과를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시장친화적이고 창의적인 대안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그는 "도로통행료나 전기요금 외에도 차등요금제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재활용시장이나 소셜커머스, 오픈 마켓 등 전가상거래에 대해 심도있게 검토하고 활성화대책을 내놓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책효과가 제대로 나타나고 있는지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겠다는 방침이다.
임 차관은 "각 부처는 정책효과를 숫자로만 따지지 말아야 한다"며 "현장에서 청취한 애로사항의 해법도 현장에서 찾아라"라고 주문했다.
전반적인 거시경제 상황에 대해 한국은행과 인식을 공유하고 상호 공감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임 차관은 "지난 15일에 박재완 재정부 장관과 김중수 한은 총재가 만나 고용과 물가안정정책 분야에서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며 "양기관 실무자(차관급)가 참여하는 거시정책실무협의도 개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에너지 절약과 합리적 소비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최근 들어 국제유가와 원자재가 다시 증가하면서 유가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고유가는 신흥국 수요로 현실화·장기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우리나라는 에너지 해외 의존도가 거의 100%에 달하기 때문에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는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전 국민이 절약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며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곳에는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에너지 절약 방법을 담은 매뉴얼을 보급하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가공식품과 스포츠의류, 태블릿PC, 변액 보험 등 소비자 일상생활과 밀접한 품목은 오는 9월부터 소비자단체를 통해 가격 비교 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