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가 작년 이류면 두정리에 조성한 클린에너지파크(쓰레기소각장) 광역화를 추진했으나 최근 무산됐다.
2일 충주시에 따르면 시의회는 전날 열린 제156회 정례회 3차 본회의에서 '충주시클린에너지파크 운영관리 조례 개정안' 중 타 지자체 폐기물 반입을 허용토록 한 조항을 삭제해 통과시켰다./ 연합
시는 애초 개정안에 클린에너지파크 운영상 가연성 폐기물이 부족하면 다른 지자체의 폐기물을 반입 가능하도록 반입대상 폐기물을 확대하는 규정을 신설했었다. 하지만, 의회는 "주민 반대의견이 있다"면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지역 일부 주민은 "다른 지자체 쓰레기 반입은 애초 주민과의 약속에 어긋나고, 소각장 운영업체가 수익을 위해 무분별하게 다른 지역 쓰레기를 반입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충주 클린에너지파크 소각로는 인구 30만명을 기준으로 하루 100t을 처리할 수 있도록 건설됐지만, 인구 21만명 충주지역 소각 쓰레기양은 하루 50-70t에 불과해 소각로 효율이 떨어지고 가동을 멈춰야 하는 점검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시는 클린에너지파크의 소각로 효율을 높이면서 처리비용 수입을 올리고자 인근 괴산군에서 1일 발생하는 3-5t의 소각 쓰레기를 들여올 계획으로 광역화를 추진했었다.
시 관계자는 "소각 쓰레기를 하루 5-6t 더 들여온다고 해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주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내년에 다시 광역화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2007년 11월에 착공해 총사업비 556억원을 들여 지난해 10월 완공한 충주클린에너지파크는 하루 100t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과 30t 용량의 재활용 선별장, 친환경 기술정보센터, 주민 편익시설 등을 갖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