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한국IDC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던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 국내 IT 서비스 시장은 전년 대비 4.0%의 성장률로 성장 하향 조정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시장 참여자들의 신 성장 동력 모색 작업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다양한 형태의 업체간 통합 및 협업 구도가 형성되고 시장 경쟁 구도의 변화 움직임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은선 한국IDC 수석연구원은 “주요 시장 참여자들이 신 성장 동력의 모색 작업을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다양한 형태의 업체간 통합 및 협업 구도가 형성되고 새로운 시장 참여자들이 등장하면서 시장 경쟁 구도의 변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클라우드·융합 IT와 같은 새로운 시장 모델의 구현이 한층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트랜스포메이션(변화) 가속화
지난해 국내 IT 서비스 시장은 전반적인 경기 회복세를 기반으로 뚜렷한 수요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전년도의 성장 기저 효과가 더해지면서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산업 전반에 걸쳐 통합커뮤니케이션(UC)·모바일·전사적자원관리(ERP)·차세대 등 다양한 신규 수요가 나타나면서 전년 대비 8.6%의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시장규모는 6조7968억원을 형성했다.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 시장에서 대기 물량의 발주와 다양한 기술 및 산업 이슈를 기반으로 신규 물량이 증가하며 전년 대비 8.7%의 성장률을 보였다.
IT 아웃소싱 시장도 기존 물량 확대 및 일부 신규 수요 등장과 호스팅 부문의 뚜렷한 회복세에 힘입어 전년 대비 11.1%로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시장 회복세 속에서 시스템 통합과 아웃소싱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IT 서비스 모델에 있어서 기존 서비스 제공 모델 자체에 대한 혁신도 이뤄졌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및 특정 산업과 결합된 융합 IT 모델로도 변화되며 전통적인 모델에 대한 트랜스포메이션(변화) 작업이 가속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서비스 산업 내에서도 기존 IT 환경의 통합이나 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모델의 고도화를 넘어서서 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서비스 제공 모델이나 융합 서비스 모델이 한층 구체화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 시장 경쟁 구도 변화 움직임 확대
올해 국내 IT 서비스 시장은 비교적 완만한 성장세로 선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도의 급격한 회복세로부터의 성장 조정 추세가 반영되는 가운데, 장기적인 시장 성장 곡선으로의 회귀 양상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난 해에 비해 성장률이 상당한 하향 조정을 받으며 전년 대비 4.0%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통적인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 시장이 일차적으로 성장 조정을 받는 가운데 클라우드, 컨버전스 서비스 등 차세대 모델 관련 프로페셔널 서비스 등이 신규 수요를 형성하며 전년 대비 4.1%의 성장이 예측된다.
아웃소싱 부문도 호스팅 기반의 아웃소싱 모델이 시장 확대에 일조하면서 전년 대비 4.8%의 완만한 성장이 전망된다.
![]()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