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트너 장관은 이날 CNN과 ABC, 폭스뉴스 등에 잇따라 출연, "채무상환 시한을 넘기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 이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이어 공화당 소속 존 베이너 하원의장과 미치 매코넬 상원 원내대표를 거명하며 "이들은 미국이 디폴트 사태에 빠져서는 안된다는 점을 확고히 해왔다"며 조속한 협상 타결을 촉구했다.
가이트너 장관은 특히 "의회는 내년 11월로 예정된 차기 대통령선거 이후까지 최소한 18개월간 디폴트의 위협을 없애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디폴트를 막기 위해 임시방편으로 단기처방이 강구될 경우 올연말부터 대선국면이 본격화되면 이를 놓고 또다시 '당파논쟁'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지난 11일 부채상한 증액 협상 관련 기자회견에서 "지금 상황이 어려운데 6개월 뒤 (대통령)선거가 한창일 때는 (협상이) 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가이트너 장관은 부채상한 증액의 '방법론'에 언급, "대규모 지출감축과 세제개혁이 포함된 이른바 "그랜드 바긴(Grand Bargain)'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그는 최근 미치 매코넬 상원 원내대표가 연방부채 상한을 증액하는 권한을 오바마 대통령에게 부여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 "이는 선택사항이 아니다"라면서 의회를 압박했다.
한편 윌리엄 데일리 백악관 비서실장은 이날 NBC방송에 출연, "연방부채 상한 증액의 시한이 2013년까지 설정되지 않으면 오바마 대통령은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