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야당은 무리하게 증인을 남발하고 여당은 '정부 현직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여야 모두 청문회에 뜻이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많은 증인이 연락해 '나는 무관하니 빼달라'고 하는데 무관하다면 김태호 전 총리 후보자의 형수처럼 당당하게 밝히면 되지 뭐가 두려운가"라고 말하기도 했다.
활동 기간 연장에 대해선 "연장한다고 달라질 게 있나. 의미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피해자 구제책과 관련, "활동 시한인 내달 12일까지 특단의 대책을 내놓겠다"며 "손해배상 차원에서 통상적 수준을 뛰어넘는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별법을 제정하거나 저축은행 정상화뱅크(배드뱅크)를 세우자는 아이디어, 기금을 만들자는 방안 등이 나와있다"며 "피해대책 소위원회를 구성해 정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야간 '정권 책임론' 공방에 대해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전·현 정권 모두에 책임이 있다는 건 여야 의원들이 공감하고 있다"며 "정권 책임론은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검찰이 문서검증을 거부한 것은 국회 모독으로 검찰을 언제까지 무소불위의 치외법권 지대로 놔둬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사법개혁특위를 다시 가동해야 하며 법무장관과 검찰총장 내정자 청문회에서도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