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 중인 신축 다세대주택매입(이하 신축 매입)사업이 향후 서민 주거안정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다만, 정부가 제시한 매입가격으로는 우수한 입지를 찾기는 힘들어 보여 기준에 맞는 매입주택 입지 선정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번 신축 매입사업은 정부의 8·18 전월세대책 방안에 따른 후속조치로, 기존 매입임대주택과 달리 신축 주택을 사들여 전세로 재임대된다.
신축 매입의 자금조달은 국민주택기금에서 50%, 입주자 45%, LH 5% 등으로 LH의 부담이 크게 줄었다.
국토해양부와 LH에 따르면 입주대상자는 소득 3~5분위 3~4인가구(예정)로 주변 시세 80%선에 10년 장기전세 형태로 공급할 계획이며, 올 2만가구를 시작으로 매년 2만가구를 사들일 방침이다. 이번 1차분 5000가구의 첫 입주는 내년 봄철에 이뤄질 예정이다.
SH공사의 장기전세주택(시프트)이 공급 때마다 큰 인기를 끈 것으로 비춰볼 때 대도시에서 공급하는 신축 매입 역시 실수요층 3~4인가구의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매입가격이 도심이나 역세권에 위치한 사업자들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아 사실상 외곽지역 주택만 매입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LH의 매입공고에 따르면 매입가격은 토지비+건축비 형태로, 토지비는 감정평가 기준이며 건축비는 1㎡당 97만2000원선이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매입가격이 낮은 수준은 아니지만 선호지역 사업자들이 주택을 정부에 팔지는 미지수”라고 예상했다.
이에 대해 LH 도시재생사업처 관계자는 “선호도가 크게 떨어지는 지역은 매입단계서 제외해 최대한 좋은 입지를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신규 매입은 이달말까지 1차분에 대한 접수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아직 실제 접수는 미미한 편.
국토부 공공주택개발과 김민철 사무관은 “문의가 하루에 80건 이상 들어오는 등 사업자들의 관심은 많다”며 “서류 준비 시간과 통상 마감시점에 접수가 몰리는 것을 고려하면 매입 계획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