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강성천 의원은 “지난 7월 26일 집중호우 당시 서해 상에 강수 구름이 집중되어 있었는데 왜 기상관측선이 서해가 아닌 동해에 있었느냐”며 “기상청은 우리나라에서 하나밖에 없는 관측선이 동해에서 심해 관측을 했다고 설명하는데 연구일지를 살펴보니 일반적인 관측활동이 전부였다”고 따졌다.
기상청은 지난 5월부터 498t급 기상관측 전용 선박인 `기상1호‘를 가동해 해상과 해양에서 대기 환경을 관측하고 있다.
이에 조석준 기상청장은 “서해 상에서 관측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을 것”이라고 시인하고, “앞으로는 연간 기상 일정에 맞게 조정하겠다”고 답했다.
한나라당 이정선 의원은 “관계기관으로 등록된 곳이 1천900여개에 달하는데 현재의 통보 시스템으로는 급변하는 기상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다”며 “기상 통보에 IT기술력과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물었다.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은 “상시 예보관이 청주에 3명이 있는데 인구의 49%가 몰려 있는 서울은 고작 1명뿐”이라며 “이런 부실한 시스템 때문에 지난 7월 중부권 폭우 때 16명이 사망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단기적으로는 서울·경기지역 전담 예보관을 확충하고 장기적으로는 수도권지역 기상청 설립 방안 계획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