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집중호우 등 기상 불안요인이 사라지면서 신선식품지수의 하락폭이 큰 영향을 미쳤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4.3% 상승했다. 전월 대비로는 0.1% 올랐다.
이로써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8개월 연속 4%대의 상승률을 지속하면서 정부의 물가목표(4.0%)를 무너뜨렸다.
9월 상승률이 다소 주춤한데는 예상대로 신선식품지수의 하락폭이 큰 영향을 미쳤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2.7%, 전년 동월대비 7.4% 각각 하락했다.
특히 일조량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신선채소가 전년 동월대비 19.6% 하락했다. 전월 대비로도 4.3% 떨어졌다.
신선과실도 전월 대비 2.9% 하락했고(전년 동월대비로는 1.8% 상승) 기타신선식품도 전월 대비 3.2%, 전년 동월대비 17.5% 각각 하락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이른바 근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다만 전년 동월대비 상승률은 지난달(4.0%)에 비해 1.0%p 하락한 3.9%를 나타냈다.
서비스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4.7% 상승, 전월 대비로는 변동이 없었다.
서비스물가 중 집세의 상승폭은 여전히 컸다. 집세는 전월 대비 0.4%, 전년 동월대비 4.7%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고춧가루가 전년 동월대비 92.6% 상승하는 등 큰 폭으로 올랐고, 돼지고기 23.8%, 갈치 18.2%, 달걀 16.9% 뛰었다.
반면 배추는 27.0%, 파 44.7%, 상추 58.2%, 호박 51.5%, 시금치 44.9% 등 신선채소류는 크게 하락했다.
공업제품 가운데 금반지는 36.2%, 등유 23.9%, 자동차용 LGP 20.2% 상승했다.
외식비 가운데는 삼겹살과 돼지갈비가 각각 16.7%, 15.4% 등의 상승세를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