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는 20일 서울 여의도 한국투자증권 빌딩에서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올해 3분기 매출 6조2687억원, 영업손실 4921억원의 실적을 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동기(매출 6조6976억원, 영업이익 1821억원)보다 매출이 6.4% 줄었고 전분기(매출 6조471억원, 영업손실 483억원)와 비교하면 매출은 3.7% 증가했으나 영업손실은 10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당기순손실은 6875억원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경기 침체 및 수요의 불확실성으로 완제품 업체들의 보수적인 재고 정책이 지속되면서 패널 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졌고 분기 말의 급격한 환율 변동으로 환평가손실이 발생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LG디스플레이는 필름패턴 편광안경(FPR) 3D, 스마트폰, 태블릿PC용 IPS 패널 등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을 높여 출하량(면적 기준)이 810만㎡로 2분기보다 9% 늘었다고 밝혔다.
매출액을 기준으로 패널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47%, 모니터용 19%, 노트북PC용 14%, 스마트북용 11%, 모바일용 9%이다.
권영수 사장은 “시장점유율, 원가경쟁력 및 제품 우수성 측면에서 경쟁사들보다 차별화된 역량을 구축해 글로벌 경기 침체 등의 경영 환경에도 비교적 선전했으나, 환율이 급변하면서 외화 부채와 외화 선수금 등에 대한 환평가손실이 생겨 재무제표상 영업손실의 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정호영 최고회계책임자(CFO)는 “3분기 말 현재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조316억원이고 부채비율은 143%로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불확실성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4분기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겠지만 출하량이 3분기보다 한자릿수 초반대 늘어나고, 패널 가격의 추가 하락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