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꺼비하우징은 낙후된 주거지를 전면 철거한 뒤 아파트를 신축하는 기존의 재개발·재건축 방식 대신 현재 살고 있는 집을 고쳐서 사는 방식을 말한다.
서울시는 현재 시범사업 중인 은평구를 모델로 삼아 내년 시내 20~30곳에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10일 두꺼비하우징 관련 예산으로 474억원을 책정했다.
그러나 두꺼비하우징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내세웠던 휴먼타운과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존 주거지의 틀을 유지하면서 노후된 곳을 정비한다는 점에서 휴먼타운과 일맥상통한다”면서도 “휴먼타운은 기반시설 조성에 좀더 초점이 맞춰진 반면 두꺼비하우징은 울타리 안까지 고려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기반시설 뿐만 아니라 주택 개보수 및 마을 공동체 강화에도 중점을 둔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두꺼비하우징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것도 주요 목적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현재 두꺼비하우징은 시범사업 구역인 은평구에서 '비법정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 관계자는 시 차원에서도 비법정사업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사업지마다 방식을 달리할 계획이다.
관계자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과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도촉법)이 통합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두꺼비하우징 관련 근거조항을 마련 중”이라며 “이에 따라 12월 중 제정되면 내년에는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기존 재건축·재개발 투자자들은 두꺼비하우징이 확산되면 기대했던 차익을 얻지 못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 온라인 부동산투자자모임 관계자는 "두꺼비하우징은 수익쪽으로는 전혀 메리트가 없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반감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재개발·재건축정보업체 예스하우스의 이승준 본부장도 두꺼비하우징은 시행이 쉽지 않고, 이론적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사실 부동산을 재테크 개념으로 갖고 있는 나라 가운데 우리나라만큼 강한 곳이 없다"며 "시장의 논리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또 역세권 지역은 정비사업을 활성화 시키는 등 지역에 따라 선별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