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만텍 노턴은 21일 ‘2011 노턴 온라인 패밀리 보고서(Norton Online Family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부모의 77%는 자녀의 인터넷 이용방식에 관한 규칙이 있다고 답했으며 규칙을 잘 따르는 아이들의 경우 온라인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했다는 비율이 52%, 규칙을 잘 따르지 않는 아이들의 경우 82%였다.
전세계 아이들의 62%는 온라인 상에서 부정적인 경험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답했다.
39%는 낯선 사람으로부터 부적절한 사진을 받거나 괴롭힘을 당하거나 사이버범죄 피해를 입는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에서 감당하기 힘든 콘텐츠나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동을 하고 있는 아이들이 74%로 그렇지 않은 경우 38%보다 높았다.
아동학자 바네사 반 패튼은 “요즘 아이들은 훨씬 어린 나이에 온라인 정체성을 형성하는 만큼 온라인 상에서 어떻게 말하고 행동하고, 무엇을 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할 지 조언을 얻을 수 있는 부모, 교사나 롤 모델을 필요로 한다”며 “온라인에서의 부정적인 경험은 사이버 괴롭힘이나 온라인 사기로 인한 금전적 손실 및 개인정보 유출에 이르기까지 현실 세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교사 5명 가운데 1명은 교사를 화나게 하고 반응을 촬영해 인터넷에 올리는 경우를 경험했거나 경험한 동료 교사를 알고 있다고 답했다.
자녀들이 온라인 쇼핑시 부모 신용카드를 사용하도록 두는 부모 가운데 23%가 자녀들이 과소비를 했다고 했으며 30%의 부모는 자녀들이 온라인 쇼핑에서 부모 신용카드를 허락없이 사용한다고 답했다.
53%의 부모는 자녀들이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계정을 무단 사용한 적이 있다고 했다.
‘2011 노턴 온라인 패밀리 보고서’는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원이 2011년 2월 6일부터 3월 14일까지 24개국에서 교사 2379명을 포함한 성인 1만96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여론조사를 토대로 작성됐다.
노턴 인터넷 안전 전도사 매리언 메리트는 “아이들이 온라인 상에서 스스로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있어서 부모와 교사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며 “부모의 63%가 온라인 안전에 관해 자녀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지만 여전히 34%는 자녀의 온라인 활동이나 SNS 활동을 아이들 몰래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아이들과 솔직한 대화를 갖는 것은 아이들의 안전한 온라인 활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또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