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내국인이 외국기업에 투자해 받은 배당금은 '외국인 배당금'의 절반을 겨우 넘는 수준이어서 국부 유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25일 한국은행 등의 통계를 보면 지난 1~10월 외국인들이 국내기업에서 챙겨간 배당금(투자소득배당지급)은 67억3010만달러였다. 이 기간의 평균 환율을 적용하면 7조4000억원에 달하는 액수다.
이는 1995년 이후 같은 기간(1∼10월) 기준 연도별 배당금 중 역대 4번째로 많다.
외국인 배당금이 가장 많았던 2007년에는 81억3770만달러로 조사됐다. 이어 2008년(76억5000만달러), 2005년(67억3710만달러) 순이었다.
반면 올해 같은 기간에 내국인투자자가 외국기업에서 거둬들인 배당금(투자소득배당수입)은 34억7084만달러(한화 3조8000억원)였다. 지난 2008년 42억3600만달러에 이어 2번째 규모다.
투자소득배당지급을 투자소득배당수입으로 나눈 `투자소득배당배율‘은 올해 1.934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내국인보다 2배가량 많은 배당금을 챙겨갔다는 의미다.
배당배율은 2003년 7.67까지 치솟았다가 2009년 2.23까지 내려간 뒤 2010년에는 1.88로 떨어졌다. 한국경제가 `외환위기’를 맞았던 1998년과 1999년에는 외국 투자자금이 대폭 빠져나가면서 배당배율이 각각 -0.55, -1.44를 기록한 바 있다.
이처럼 배당지급과 배당수입간 불균형 현상이 심한 탓에 국부유출 논란이 계속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같은 불균형의 지속을 우려하며 국부 유출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유럽 재정위기가 계속될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손실을 줄이기 위해 더 높은 배당배율을 요구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