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4일 공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결과 올 1분기 국내 은행들의 종합 대출태도지수는 지난해 4분기보다 6포인트 하락한 -1을 기록했다. 한은은 지난달 12~23일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은행의 여신 담당자를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진행했다.
은행권의 종합 대출태도지수가 0 아래로 떨어진 건 2009년 4분기(-4) 이후 2년3개월만이다. 대출태도지수는 은행들이 대출에 적극적일 때 값이 올라가는데, 이 수치가 마이너스라는 건 대출 취급기준이나 조건을 강화하겠다는 응답이 완화하겠다는 응답보다 많다는 뜻이다.
은행들은 특히 가계대출에 대해 한층 더 까다로운 태도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의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는 전분기보다 3포인트 떨어진 -3을 기록했다. 일반자금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지난달과 같은 -9를 기록했다.
특히 은행들은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대책, 가계 채무상환능력 약화 우려 등으로 대출태도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에서 대출받기가 어려워지는 건 중소기업도 마찬가지다.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전분기 9에서 0으로 낮아졌다. 다만 대기업에 대한 대출태도는 3에서 6으로 올라갔다.
한은 관계자는 “유럽지역 재정위기 등으로 업황 불확실성이 커져 은행이 리스크 관리에 더욱 신중을 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가계부채 대책, 채무상환능력 약화 우려 때문에 가계에도 비슷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종합 신용위험지수는 전분기 9에서 19으로 상승했다. 신용위험지수는 빌려준 돈을 떼이는 데 대한 은행들의 걱정을 보여주는 지표인데, 특히 중소기업 신용위험지수가 13에서 28로 증가했다.
건설․부동산 등 취약업종의 부실위험이 잠재해 있는 데다 향후 전반적인 업황도 부진할 가능성 증대돼 신용위험도 높아졌다는 한은의 분석이다.
대기업의 경우 글로벌 경제여건의 악화 영향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신용위험지수 역시 전분기 3에서 6으로 증가했다.
가계부문 신용위험지수는 부채 증가로 채무상환 능력이 약화되리란 우려가 커지면서 6에서 13로 올라갔다
대출수요의 경우 중소기업은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운전자금 대출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분기보다 9포인트 늘어난 31을 기록했다.
대기업은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 증대로 여유자금 확보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3에서 6으로 증가했다.
가계의 대출수요는 가계주택의 경우 3에서 6으로 증가했고 일반의 경우 13에서 9로 낮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