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돈거래 용의자일 수 있는 선거인단의 명단 확보는 “수사의 기본”이라는 입장이지만, 민주통합당은 “불순한 의도가 있다”며 협조 요청을 거부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통합당은 특히 검찰이 협조 요청 거부를 뻔히 예상하면서도 공문을 보낸 것은 '수사 미협조'라는 꼬리표를 붙이려는 전형적인 수법으로 보고 있다.
예비경선 선거인단인 당 중앙위원은 시도지사·국회의원·지역위원장·총선 예비후보 등 신분이 분명하고 주요 포털에 노출된 인사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굳이 명부가 필요하지 않는데도 제출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이에 민주통합당은 오히려 검찰의 '편파 수사'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신경민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검찰 수사 과정에서 '국회의장실'과 '화장실'을 구분하지 못하고 비중을 잘못 두는데 대해 검찰 수사의 엄정함을 다시 한번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돈 봉투를 받아 돌려줬다”는 고승덕 의원의 명확한 진술이 있는 한나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과 달리 민주당의 예비경선 돈거래 의혹은 사실 관계조차 불투명한데도 검찰이 경중을 구분하지 않고 여야 간 `물리적’ 균형만 맞추는 수사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신 대변인은 “한나라당 사건은 똑 떨어지는 증언이 있는데도 천천히, 그리고 제한적으로 수사하고 있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