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는 학생용ㆍ학부모용ㆍ교사용ㆍ관리자(교장ㆍ장학관)용 등 4종으로 구분된 매뉴얼을 새학기 시작 전에 각급 학교에 배포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매뉴얼에는 학교폭력 징후 파악, 신고 접수, 초기 대응, 조사 및 면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심의, 사법처리 진행시 대처, 예방교육 등의 내용이 구체적인 대응 요령으로 포함된다.
교과부는 2008년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 2009년 법무부와 공동 제작한 `학교폭력ㆍ성폭력 예방 및 대처 가이드북’을 제작한 바 있다.
당시 가이드북은 이해관계자별로 세분화되지 않았고 원론적 내용도 많아 현장 매뉴얼로 보기에는 부족했다는 지적이 있어와 이번 매뉴얼은 얇고 보기 쉽게 만든다.
또 사용자별 구분 뿐만 아니라 초등 저학년용ㆍ초등 고학년용ㆍ중학생용ㆍ고교생용 등 학교급별 4종으로 구분된 매뉴얼 제작도 계획중이다.
이렇게 되면 초등 저학년이 학생용ㆍ학부모용ㆍ교사용ㆍ관리자용 등 4가지로 구분되는 등 학교급별ㆍ사용자별로 총 16종의 매뉴얼이 만들어 진다.
교과부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등 가해자 제재ㆍ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령ㆍ규정을 대폭 정비해 다음달부터 시행하며,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법과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법 개정안이 오는 16일 교과위를 거쳐 국회를 통과하면 5월부터 피해학생 치료비 지원 및 가해자에 대한 구상권 청구를 시작한다.
교과부가 지난해 말 외부용역을 통해 교원의 직무와 업무량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업무 구성은 학습지도 55.9%, 교무행정 21.7%, 학급경영ㆍ생활지도 19.1%, 기타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는 작년 8∼9월 초ㆍ중ㆍ고 6곳, 교육청 2곳, 교육지원청 2곳 등 총 10곳에서 시행됐다.
현재 학교조직은 교사가 교육활동과 교무행정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며 본연의 교육보다 행정 업무 처리에 효율적인 체계여서 개선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으며 교사의 개인별 연간 평균 업무량은 부담될 만큼 많은 양은 아니지만 일부 교사와 교무ㆍ연구부장에게 쏠림 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부는 연구결과를 향후 교원 정책과 업무경감 방안 등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