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직장인 2003명을 대상으로 ‘휴일근무로 인한 실질임금 상승과 휴일근로시간 감소를 통한 삶의 여유’ 중 선택하게 한 결과, 응답자 70.9%가 삶의 여유를 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휴일근무 등 연장근로 축소를 추진한데 따른 직장인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정부는 휴일근무를 연장근무에 포함, 근무시간을 주 52시간(기본 40 + 연장 12시간)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응답자 62.8%는 이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37.2%)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 효과로는 △삶의 질 향상(37.6%) △근로시간 감소(31.5%) △신규 일자리 창출(11.5%) △기업 생산성 강화(7.9%) △소비촉진으로 인한 경기활성화(7.1%) 등을 꼽았다.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 중에서도 △근로자 노동강도 악화(34.8%)가 가장 많아 기업의 편법 연장근로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 밖에 △근로자 임금감소(29.4%) △신규고용 악화(14.5%) △기업 임금부담 가중(8.5%) 등 답이 있었다.
이들 대다수는 실제 휴일 근무를 하고 있었다. 응답자 73.7%가 휴일근무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횟수는 한 달 평균 3회였다.
휴일근무 이유로는 △많은 업무량(48.1%ㆍ복수응답) △회사ㆍ상사 강요(41.7%) △비정기 행사 및 프로젝트(24.6%) △적은 수당 외 기본급여(14.4%) 등을 들었다.
이들이 현재 받는 특근수당은 하루 평균 6만원이었으며 그나마 절반도 안되는 48.1%만이 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