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맹우 시장, 콜롬비아에 석유화학도시 노하우 전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18 06: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박맹우 울산시장은 지난 17일 콜롬비아 바란까베르메하 시민홀에서 개최된 ‘석유도시 토론회’에 참석해 ‘경험, 우의, 번영의 공유(Sharing Experience, Friendship and Prosperity)’라는 주제로 울산의 경제발전 성공 사례를 설명하고 한국과 콜롬비아, 세계 석유도시 간 공동 번영을 위한 교류와 협력을 제안했다.

이번 토론회는 콜롬비아 국영석유회사(Ecopetrol)가 마련했으며 박 시장을 비롯, 8개국 8개 도시 시장들이 참석해 석유도시의 발전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박 시장은 향후 대규모 석유화학 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는 콜롬비아를 위해 울산 석유화학산업의 성공 요인, 지역발전에 미친 영향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

박 시장은 울산의 석유화학산업의 발전과정을 정유공장 가동기, 석유화학산업 태동기, 대량생산체제 구축 및 민간화, 수출산업화 및 해외진출 단계로 구분해 설명했다.

특히 박 시장은 울산의 석유화학산업 발전과정 초기 단계에서는 플랜트 건설 기술과 운영 경험이 없어 해외 기업과 전략적으로 제휴했다는 점, 석유화학공업육성법을 제정하는 등 국가 주도로 추진했다는 점, 그리고 어느 정도 경쟁력이 확보된 이후에는 민간 주도로 전환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 시장은 "이제 울산은 SK에너지, S-Oil 등 글로벌 기업들이 집적된 세계적인 정유 및 석유화학 산업 클러스터로 발전했다"며 "이러한 울산의 성공을 바탕으로 해 2011년 한 해 동안 한국 기업은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 등지의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및 운영사업 35곳 87억 달러를 수주하기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또 박 시장은 울산의 정유 및 석유화학산업은 기초소재산업으로서 자동차, 조선산업 등 연관산업을 발전시켰다고 강조하고 지난 해 울산이 수출 1015억달러를 달성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그 뿐 아니라 생산·고용·소득 증대를 통해 우리나라와 울산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한편,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이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해 왔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이러한 울산의 성공 요인은 정부의 경제개발 계획과 강력한 추진의지, 석유화학 업종의 집적화를 통한 효율적인 산업단지 조성, 불굴의 기업가 정신과 근로자의 장인정신, 친기업적인 시민문화 등 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각자의 역할을 다하면서 이루어진 상생적 파트너쉽"이라고 강조했다.

또 "올해 한국과 콜롬비아 수교 50년을 맞아, 남미에서 유일하게 한국전쟁에 참전한 콜롬비아와 한국간의 교류가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며 "특히 울산의 ‘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은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을 위해 콜롬비아가 추진 중인 석유 관련 개발 프로젝트와도 연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토론회 참석한 석유도시들이 향후 공동의 관심사에 대해 보다 활발한 논의와 교류 협력을 통해 미래의 공동 번영을 이루어 가자고 제안했다.

지난 해 9월 이명박 대통령과 콜롬비아 산또스 대통령과의 방한 정상회담에서 원유개발, 송유관 건설, 정유공장 건설, 항만 건설을 내용으로 한 ‘Look Asia Project’를 공동 기획하기로 합의한 데 이어 산또스 대통령이 SK에너지 울산 공장을 방문해 울산의 발전상을 둘러본 것이 계기가 돼, 이번 석유도시 토론회에 박 시장이 대한민국의 대표로 초청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콜롬비아의 정유공장, 석유화학 공장 건설에 SK건설, SK에너지 등 지역 기업체도 참여를 협의 중이어서 박 시장의 이번 세일즈 외교는 현지 기업들에게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