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사람인이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 921명을 대상으로 텃세 경험에 대해 물은 결과 58.1%가 ‘있다’고 했다.
텃새 유형으로는 △업무자료 미공유(43%ㆍ복수응답) △성과 과소평가(37%) △의견 무시(30.1%) △허드렛일(29.9%) △뒷담화(26.7%) △은근한 왕따(24.3%) △업무과중(23%) 등이 있었다.
이 같은 텃세는 평균 4.2개월 지속됐다. 3개월(24.7%)이 가장 많았고, △1개월 이내(21.7%) △2개월(19.6%) △6개월(12.2%) △1년 이상(12%) 순이었다.
텃세를 주도한 사람은 △상사 및 선배(63.9%) △같은 직급(31.8%) △후배(4.3%)였고 성별로는 남성(60%)이 여성(40%)보다 다소 많았다.
이 같은 텃세로 재이직 한 경험이 있는 사람도 32.2%나 됐다.
이를 극복하기기 위해선 △인사를 열심히 하거나(53.4%ㆍ복수응답) △스스럼없이 먼저 다가가거나(31.7%) △회식자리에 항상 참석하는(29.8%) 등 노력을 했다고 답했다.
또 △소수 동료와 친하게 지내거나(29.6%) △업무에 매진, 성과를 내거나(29.1%) △구설수 없이 조용히 지내거나(26.4%) △업무 전문성을 높이려는 공부를 하거나(26.2%) △자진해서 야근하는(23.6%) 등 노력도 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이직 후에는 성과에 대한 기대감, 기존 직원의 배타적 태도로 초년생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며 “이직 땐 연봉 등 조건 뿐 아니라 조직문화 및 궁극적 목표를 고려해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