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는 순 현재가치 기준으로 민간채권단이 그리스 채무를 70% 이상 떠안게 된다면서 “무디스 규정에 따르면 이번 (국채) 교환은 ‘부실 교환(distressed exchange)’에 해당해 채권 디폴트”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그리스의 국채 교환이 85.8%의 동의비율로 마무리됐어도 그리스 정부가 발동한 ‘집단행동조항(CAC‘s)’에 따라 동의하지 않은 채권단도 강제로 국채를 교환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무디스는 국채 교환 이전에 이미 그리스의 신용등급을 최하인 C로 강등한 상태여서 이번 발표에 따른 등급 변화는 없었다.
이 회사는 그리스의 국채 상각 절차와 유로존의 2차 구제금융 집행이 미칠 영향을 검토해 신용등급을 재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국채 교환으로 그리스의 재정적 의무 부담이 줄고 이에 따라 디폴트를 면할 수 있게 됐지만, 디폴트 위험이 여전히 크다는 이달 초 발언을 상기시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