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년간 은행권을 중심으로 재원을 조성해 청년층의 창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것으로 오는 5월 본격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20일 자산관리공사(캠코) 창원지사에서 가진 서민금융 간담회에서 “3년간 5000억원 정도를 은행권에서 조성해 예비창업자, 창업 3년 이내, 2030 청년 세대, 대학 졸업 5년 이내 청년을 지원하는 ‘청년창업지원펀드’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3월 말까지 구체적인 심사 기준이나 방안을 마련해 5월 중에 지원을 개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기술신용보증 심사를 거쳐 기업당 최대 1억원까지 대출·보증을 지원하고 전문가의 경영자문을 받게 한다는 약속도 했다.
김 위원장은 “청년창업지원펀드는 매출액이나 담보 등 외형적 요건보다는 기술성과 사업성을 중심으로 심사를 할 계획”이라며 “심사기준도 상당히 완화하고 지원 기업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경영 컨설팅도 제공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5000억원 가운데 2500억원은 청년창업투자기금으로 분류해 투자를 원하는 창업자에게 제공된다. 신용보증재단이 심사해 기업당 최대 3억원까지 지원한다.
김 위원장은 “창업을 한다는 것은 실패할 확률도 있다. 나도 30년 전에 창업을 했다가 실패한 적 있다”며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자리를 잡도록 돕는 게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은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금융회사, 학계를 망라해 서민금융협의회를 만들고 신용회복위원회, 캠코, 미소금융재단 등 서민금융기관들이 한 창구에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토록 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