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무역갈등에 국내 태양광업계 '어부지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3-26 11: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美업체,상계관세 징수에 한국·대만산 교체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사이로 국내 태양광업계의 반사이익이 점쳐지고 있다.

미국의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대한 반덤핑관세 조치로 인해, 한국산이 중국산을 일부 대체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중국에 태양광 소재를 수출하는 업체들의 경우 오히려 수출이 감소하는 부정적 영향도 우려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대해 2.9~4.73%의 상계관세를 징수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태양광 업체들이 자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지원받아 가격경쟁력을 높인 제품을 수출함으로써 미국 태양광 시장에 피해를 입혔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와 관련 코트라는 현지 언론 보도를 인용해 중국산을 수입하던 미국 바이어들의 수입선 변경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전했다. 이미 일부 태양광 프로젝트 개발사는 중국 대신 한국과 대만으로 수입선을 변경했다는 것이다.

대형 태양광 프로젝트 전문업체인 Recurrent Energy의 경우 현재 진행 중이거나 개발 중인 프로젝트에 사용될 패널 공급선을 모두 변경할 계획으로, 이런 움직임이 최근 미국 태양광 업계의 전반적 추세라고 밝혔다.

국내 태양광업계의 대미 수출확대 효과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실제 태양광산업협회 관계자는 “국내 업계에 반대급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몇몇 태양광 업체들이 대미 수출이 늘어서 가동률을 높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국내 한 패널업체 관계자는 “아직 직접적인 이익을 추산하기는 어렵지만, 반사이익이 있는 것으로 보고 그에 따른 사업전략을 짜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협회 관계자는 “중국산이 미국산보다 20~30% 싼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번 반덤핑관세에도 중국산이 여전히 가격경쟁력이 높을 것”이라며 “결국 미국시장에서 중국산이 다시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보여, 이번 수혜가 단기적일 것 같다”고 예상하기도 했다.

아울러 “중국이 대만과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을 체결하는 등 우호가 돈독한 가운데 대만은 태양광 모듈 경쟁력이 약하다. 따라서 중국이 이런 대만의 부족분을 채워주면서 연계, 미국시장을 우회 공략해 한국이 누릴 수 있는 반대급부가 적어질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업스트림 분야는 오히려 역효과가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태양광 핵심소재인 폴리실리콘의 경우 상당부분 중국에 수출하고 있어, 중국의 대미수출 감소는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

대신증권 안상희 연구원도 “폴리실리콘 제조업체인 OCI의 경우 매출의 50%가 중국 모듈과 관련돼 있다”며 “단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코트라 관계자는 “미국 바이어들이 중국산을 대체할 경쟁력 있는 태양광 패널 수입선을 물색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국내 업체들이 품질 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 효율적인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와 제품 알리기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