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공동 중앙선대위원장을 맡은 한 대표는 26일 대전과 세종시를 찾아 지역 민심을 훑으며 표심잡기에 나섰다.
한 대표의 이날 충청 방문은 전통적으로 선거에서 ‘캐스팅 보트’를 쥐었던 중요한 지역인 동시에 세종시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만큼 첫 지역 유세의 장소 적합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가 지난 참여정부 시절 만들어진데다 지난 2009~2010년 이명박 정부가 추진했던 백지화에 맞서 민주당에서 원안을 지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만큼 현 정부와 차별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작용했다.
또 한 대표가 국무총리 재임 시절 이름을 공모해 ‘세종시’라는 명칭을 만들어 남다른 애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후보 공천 과정에서도 삼고초려를 통해 당초 세종시 출마에 부정적이었던 이해찬 전 국무총리를 추대했던 사실도 같은 맥락이다.
이날 첫 지원 유세를 펼친 한 대표는 현 정부의 실정을 부각시키며 ‘정권 심판론’의 재불시를 당겼다.
한 대표는 이날 대전 지역기자간담회에서 “이명박 정부에서 충청도는 없었다”며 “ 세종시 백지화를 시도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도 분산시켰고, 충남도청 자리를 근현대사 박물관으로 만들려는 약속도 취소했다”고 비판했다.
한 대표는 이어 “4·11총선은 정말 새누리당과 MB정부 4년 동안 혹독한 겨울을 지낸 민생파탄의 총체적인 실정을 심판하는 선거여야 한다”며 “민주당은 충청도를 변방이 아닌 우리나라의 중심으로 되돌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또 “이번 선거는 과거의 잘못된 실정을 연장하느냐, 과거 세력으로 돌아가느냐, 아니면 새 시대를 열어서 국민에게 행복을 안기느냐의 선택”이라며 “충청도를 중심으로 일어나서 서울로 남쪽으로 이 바람이 불면 4.11총선은 야권연대를 이룬 우리 민주당과 통합진보당, 시민세력, 99%국민 모두가 함께 잘사는 세상을 만들려는 반한나라당의 모든 세력이 행복한 꿈과 가정을 이룰 수 있는 시대로 나갈 것”이라며 야권연대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