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밝혔다.
이는 국민들이 대표적 보양식품으로 인삼과 녹용을 가장 선호하고, 제약회사들도 각종 드링크 원료로 사용하는 등 직간접적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 가운데 인삼은 제약회사가 수출용원재료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장접근물량 추천을 받아 수입할 경우에는 20% 관세율을 적용 받는다.
그러나 개인의 경우에는 관세율(222.8%)이 높아 사실상 수입이 어렵다. 그 결과 최근 5년간 인삼 밀수적발 실적(772톤, 565억원)은 정상 수입실적(379톤,47억원)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관세청에 따르면 주요 밀수 수법은 컨테이너 내 정상화물과 혼재하거나 은닉하는 일반적인 수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관세청 관계자는 “관세청은 올해에도 시세차익을 노린 밀수입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범자들을 중심으로 정보분석을 강화할 것”이며 “우범경로 및 화물에 대한 공항만 감시활동을 강도 높게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