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정 위원장은 동반성장위 14차 회의를 마친 뒤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동반성장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지금 사퇴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동반위에서 물러나는 이유를 밝혔다.
이어 정 위원장은 "소신에는 변함이 없고, 필요하다면 무슨 역할으로든, 어떤 방식으로든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전경련에 대해 발전적인 해체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재벌은 이익을 위해서라면 기업 철학을 휴지통에 넣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며 "전경련은 다시 태어나야 하고, 필요에 따라 발전적 해체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기업이 산업화 시기에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것은 인정하지만 대부분은 과거 독재권력과 유착으로 몸집을 키웠다"며 "그 보호막이 사라지자 전경련이라는 보호막을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정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정 위원장은 "대기업은 물론 정부도 사회적 상생을 위해 어떤 것도 하려고 하지 않는다"며 "동반성장을 왜곡하는 이런 현실 속에서는 위원회가 반쪽짜리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동반성장 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진정성 있고 결연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며 "시대정신을 회피한 정부가 성공한 예를 본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정 위원장은 대선 출마 가능성을 비롯한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다.
전경련 측은 정 위원장 발언에 대해 공식적으로 논평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