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20일 수출입동향 점검회의에서 “유럽연합 수출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고 중국 수출이 정체된 점은 큰 문제”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홍 장관은 이어 “내수 위주인 중국의 성장 정책 기조와 위안화 변동폭 확대를 고려해 중간재 중심인 중국에 대한 수출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중국 내수 소비재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중동 지역 협력 채널을 강화하는 등 수출의 전환점을 마련할 방침이다.
코트라는 “2분기 수출 확대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나 이 가운데 아세안과 중동 등 신흥국 수출은 호조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자동차공업협동조합과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가 중소기업의 자동차 부품과 섬유 수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중소기업이 FTA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