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DB] |
23일 오전 9시 도청 상황실에서 열린 경기도와 도 노조관 4G(스마트 도정) 협약식에 참석한 김 지사는 “공직선거법이 국회의원들만 유리하게 만들어 졌다”며 대권도전과 관련한 도지사직 사퇴 문제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이어 “미국도 그렇게 안한다. 지방자치단체장들이 현직을 유지한 채 예비후보등록을 하고 경선을 치를 수 있도록 헌법소원을 준비중”이라며 “이는 대한민국 정치를 선진화시키고 지평을 넓히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김 지사는 그러면서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문제는 기회의 불공정성에 있다”며 “국회의원들은 현직을 유지하고 예비후보등록이 가능하지만 단체장만 불가능하게 만든 것은 명백한 불공정 행위”라고 덧붙였다.
공직선거법 63조에 따르면 김 지사의 경우 대선 예비후보 등록 시 도지사직을 사퇴해야 한다. 이에 따라 그는 예비후보 등록없이 새누리당 경선에 참가하겠다는 뜻을 표한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특히 “새누리당의 경선에서 승리한 후 사퇴하면 도민들의 반발은 없을 것”이라고 말해 8월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새누리당 경선에도 도지사직 사퇴 없이 참가할 것으로 점쳐진다.
앞서 김 지사는 이날 오전 8시 CBS라디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도 “지사직을 가지고 대통령 선거운동하면 왜 또 도지사직에 충실하지 않느냐고 말하고, 도지사 그만 두면 보궐선거를 하는데 혈세가 낭비된다며 불만을 토로한다”며 “고심을 정말 많이 했으며 지금도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지난 1997년 이인제 전 경기도지사가 도지사직을 그대로 유지한 채 경선에 참여했던 점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으며 자문을 구하고 있다”면서 “경기도민들에 대한 의견도 구하고 각계 의견을 수렴해서 지사직에 연연하지 않고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