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국회에 들어오는 게 무섭다’(황우여 새누리당 원내대표측)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 전 총리는 민주통합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역할분담론을 들고 박 최고위원과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친노계를 이끌어야 하는 이 전 총리 입장에서는 최선의 선택이다.
당권을 충청권과 당내 2대 계파인 옛 민주계의 거점 호남권에서 잡으면 대선 주자는 자연스레 영남권과 수도권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다. ‘호남필패론’도 피하면서 문재인 상임고문과 김두관 경남지사 등 친노계 인사의 대선후보 확정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지난해 말 4년여 만에 민주당에 복당한 이 전 총리는 야권통합과 4월 총선전을 막후에서 실질적으로 이끌었다.
야권통합을 주도한 ‘혁신과 통합’ 창설을 주도했다. 지분을 놓고 통합이 지지부진했던 작년 말 ‘민주당 전당대회 전 합당해 선거판을 뒤흔들어야 한다’고 명령했다고 한다. 그 결과 친노계 한명숙 대표와 시민사회 진영의 문성근 최고위원을 1·15 전대에서 지도부에 입성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총선 공천과정에서 무리수를 뒀다는 평가도 나온다. 막후에서 공천에 개입해 공심위원들이 선정한 비례대표 순번 자체를 뒤바꿔버렸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한 전 대표가 물러났지만 ‘상왕’인 이 전 총리도 책임져야 한다는 당내 여론도 있었다.
이번 역할분담론을 놓고도 내홍이 짙어지고 있다. 호남권, 486그룹은 물론, 친손(친손학규), DY(정동영), 친정세균계 등이 강력 반발하고 있어서다.
호남권 원내대표 후보인 이낙연 의원은 “당헌·당규에 따르면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선출하도록 하고 있는데, 바깥에서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결정하겠다는 건 당헌·당규 위배”라고 비판했다.
친정세균계 전병헌 의원도 “원내대표 선거가 당권을 염두에 둔 특정인물의‘나눠먹기식 밀실야합’으로 변질되는 게 아닌지 우려가 높다”며 “독립적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을 권력욕을 채우는 수단으로 여긴다면 엄청난 후폭풍에 직면할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대권주자들도 반발하고 있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누가 무슨 자리에 앉고 하는 권력나누기 식의 정치인 중심 사고방식부터 버려야 한다”고 일갈했고, 정세균 상임고문도 “정치지도자들은 국민이 기대하는 결정과 행동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