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변해도 "아, 어머니…"..'한국과 아시아미술속의 어머니'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5-14 17: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이화여대박물관, 이화창립 126주년 기념특별전 7월 31일까지

성모자상 장우성 1960년, 종이에 채색, 138x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관장 오진경)은 이화창립 126주년을 기념하여 기획특별전 '모성-한국미술 속의 어머니'와 국제현대미술전 '모성-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전을 열고 있다.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성의 의미를 한국미술과 동시대 아시아 미술을 통해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전시다.

조선시대부터 1980년대에 이르는 한국 미술작품들과 동시대 아시아 현대 미술작품등 80여점을 선보인다.

창조의 여신 또는 생명의 근원이자 안식처인 고향으로 해석된 모성, 자애로운 양육자로서의 모성, 그리고 민족과 국가의 표상으로 해석된 모성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봄바람-세여인> 한애규 2001, 테라코타, 29x27x87, 29x30x87, 30x26x85cm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근현대미술전시관에 마련된 '모성-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에서는 아시아의 각 국가가 처한 특수한 정치 사회적 배경 속에서 모성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하고 있는 6개국(한국, 중국, 일본, 대만, 인도, 방글라데시) 15명의 아시아 현대미술가들의 작품도 소개한다.

아시아 각국 작가들의 표현방식을 비교해보면서 모성에 대한 보편적 감성과 동양의 문화적 특수성을 함께 느껴볼 수 있다.

이번 전시를 총괄한 오진경 관장은 “모성에 대한 여성주의적 논의는 여성학자나 페미니스트 미술가들에 의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번 전시처럼 여러 시대 여러 지역의 작품들을 모성이라는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조망해보는 미술전시는 흔치 않다”고 밝혔다.

한편, 이대박물관은 이번 전시와 관련하여 다양한 부대행사를 마련했다. 19일까지 박물관 시청각실에서 국제영화제 <어머니, 그 향기를 이야기하다>를 만나볼수 있다. 전시는 7월 31일까지. 관람료 무료. (02)3277-3152

가족 대본 앨리스 콕 Alice Kok (중국) 2007, 단채널 비디오, 가변크기, 작가소장

◆ 참여작가 : 강요배, 구본창, 그림패 둥지, 김경민, 김명희, 김인순, 데비한,
박영숙, 서대승, 신학철, 윤석남, 윤위동, 이광기, 임옥상, 정정엽,
조덕현, 최종태, 한애규, 날리니 말라니(인도), 라자 우(대만),
마코 이데미츠(일본), 야스민 카비르(방글라데시), 앨리스 콕(중국),
제인 송(대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