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당권파인 이 당선자는 1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 일이 벌어진 초기부터 우리가 얘기하지 않았는데 계속 그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경선 부정의 정치적 책임은 선거관리 책임 위치에 있는 선관위원장이나 당대표가 지는 것이 보통”이라며 “여론몰이에 휩쓸려서 비례대표 당선자를 희생양으로 삼는 것이 옳은 것이냐”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비례대표에 대해서는 선거운동 기간에서부터 당선된 직후에도 보수언론에서 집중포화가 있었다”며 “선거논란이 불거지면서 보수진보가 이렇게 한목소리를 내 본 적이 한국 정치사에 처음”이라고 주장했다.
또 “진보정당이 빨리 쇄신하고 뼈를 깎는 자구책과 쇄신책을 내고 반성하고 기회를 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하면 진보정당을 쪼개려고 하는 것이 걱정되고 (배경에) 의문이 많이 간다”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이번 파문이 신당권파가 당을 장악하기 위한 조직적인 음모에서 출발한 것이라는 구당권파측의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당선자는 민주노총이 제시한 중앙위 결의 혁신안 실현 요구와 관련해 “전자투표에 대한 논란은 차치해도 중앙위 결의가 비당권파(신당권파)측의 중요한 정치적 의사라는 것을 현실로 인정해야 한다”며 “당권파(구당권파)의 요구도 있으니 두가지를 놓고 잘 합의를 해서 당을 수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당선자는 전날 구당권파가 공식 제안한 ‘당원비대위’ 출범 시점에 대해 “현재 당원들이 자발적으로 당의 사태에 대해 당원들의 뜻을 모으자고 공식 제안된 상태”라며 “언제 출범될지는 정확하지 않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