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로는 유럽 경기의 영향에 민감한 조선업종과 선진국 수요 둔화가 우려되는 자동차 부문이 큰 타격이 우려됐다.
반면 전자, 반도체는 비교적 선전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전망은 전국경제연합회(이하 전경련)이 13일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개최한 ‘2012년 하반기 산업전망 세미나’에서 발표됐다.
한상완 현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이날 기조강연에서 “하반기 유로존 내 금융시장 불안 및 유로존 붕괴 우려가 가중될 것”이라며 “중국의 경기 둔화와 일본의 재정적자 확대 또한 잠재적 위험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 본부장은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아시아의 부상, 고령산업 성장 등 기회요인도 존재하지만, 신자유주의의 위기 및 글로벌 경제의 진폭 확대, 그리고 에너지 위기 및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 등이 위험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이 이날 밝힌 하반기 업종별 전망 자료에 따르면 조선 산업은 선박 수주 실적이 2013년 이후에나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하반기 경기에 먹구름이 낄 것으로 예상됐다. 해양 플랜트 부문은 드릴십 발주가 둔화세에 접어듦에 따라 그동안의 시장 부진을 극복할 마땅한 대안이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 산업 역시 하반기에도 큰 폭의 소비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소비둔화 속 기업별 ‘부익부 빈익빈’ 양상과 구조조정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철강 산업은 하반기 중국 철강업체들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감산과 중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에 따른 수요 발생으로, 철강재 가격 및 업황 반등이 점쳐졌다.
기계 산업은 중국 모멘텀이 이제 종료 단계에 접어들면서 향후 시장성장이 미국 및 유럽 등 선진시장과 이머징마켓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전망됐다.
상반기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석유화학 산업은 중국의 긴축 완화와 함께 하반기 시황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동의 대중국 석유화학 제품 수출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과도한 기대는 경계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반해 전자산업의 경우 4G LTE 스마트폰 판매 호조 및 올림픽, 유로2012 등 스포츠 이벤트로 인한 TV 수요로 전반적인 선전이 예상된다.
반도체 산업의 전망도 비교적 밝을 것이란 예상이다. 모바일 디램, 비메모리 시장의 성장이 빠르게 진행되고 AMOLED가 LCD를 대체해 가는 가운데, 국내 업체들은 선제적 투자 확대로 후발업체와의 기술 격차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