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반도체·車 호조세에 생산 3개월만에 반등…투자는 넉 달째 '뚝'

  • 6월 산업활동동향…생산 1.2%↑·소비 0.5%↑·투자 3.7%↓

  • 소비·건설기성 넉 달만 증가…"건설업 부진 완화 시그널"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2025730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2025.7.30 [사진=연합뉴스]
반도체와 자동차 등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6월 생산이 3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고. 소비 심리 회복에 따라 의복과 화장품 판매가 늘어나면서 소비도 넉 달 만에 증가 전환했다. 다만 투자는 운송장비 도입 감소 등의 영향에 4개월 연속 뒷걸음치는 모양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25년 6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3.8(2020년=100)로 전월 대비 1.2% 증가했다. 올해 1월 감소했던 전산업 생산은 2~3월 증가세를 나타낸 뒤 4~5월 감소하던 중 반등에 성공했다. 

광공업(1.6%)와 서비스업(0.5%) 모두 생산이 늘었다. 광공업생산은 광업(0.9%)과 제조업(1.7%) 등에서 모두 늘었다. 특히 제조업 생산이 반도체(6.6%), 자동차(4.2%) 등에서 증가하면서 1.7% 늘어났다. 

반면 제조업 중 전자부품(-18.9%)은 2008년 12월(30.9%) 이후 16년 6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통계청 관계자는 모바일 OLED, LCD 편광필름 등의 감소세가 컸다"며 "미국의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제조업체들이 물량 조절을 위해 수요 조정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소매판매도 지난달 0.5% 증가하면서 회복세를 나타냈다. 3~5월 감소세를 나타내던 중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승용차 등 내구재(-1.6%) 판매는 줄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4.1%), 화장품 등 비내구재(0.3%)에서 판매가 늘어난 영향이 크다. 

이 관계자는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이 7월에 통과된 만큼 직접적인 지표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며 "경제심리가 5월부터 점차 살아나는 상황인 만큼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기는 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투자 감소세는 이어지고 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1.7%)에서 투자가 늘었지만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14.8%)에서 줄어들면서 전월 대비 3.7% 감소했다. 

투자 감소는 지난 3월부터 4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8년 2~6월 이후 7년 만에 4개월 연속 감소세다. 통계청 관계자는 "2월 반도체제조용 기계 투자가 큰 폭으로 있었던 기저효과 영향이 크다"며 "전년비 기준으로는 5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는 만큼 수준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반면 건설기성은 4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지난달 건설기성은 토목(-2.8%)에서 공사 실적이 줄었지만 건축(10.3%)에서 공사 실적이 늘어나면서 전월 대비 6.7% 증가했다. 통계청은 "어느 정도 건설업 부진이 완화되고 있다는 시그널이지만 지금 판단하기는 이를 것"이라고 내다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1포인트 내린 98.4를 기록했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상승한 101.2를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