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 인천에 연산 120만톤 철근 공장 시운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6-20 14: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내 최고 효율로 1초당 42m 생산 가능

동국제강 김영철 사장(사진 가운데), 박상규 노조위원장(왼쪽), 다니엘리(Danieli)사 깐따로띠(Ezio Cantarutti) 부사장(오른쪽) 등은 20일 동국제강 인천제강소에서 연산 120만톤 규모의 철근 공장 시험 가동 버튼을 누르고 있다.(사진제공=동국제강)

아주경제 이덕형 기자=동국제강이 인천에서 연산 120만톤 생산능력의 신규 철근 공장의 시운전(hot run)에 돌입했다.

동국제강 김영철 사장, 박상규 노조위원장, 다니엘리(Danieli)사 깐따로띠(Ezio Cantarutti) 부사장 등은 20일 동국제강 인천제강소에서 연산 120만톤 규모의 철근 공장 시험 가동 버튼을 눌렀다.

동국제강은 인천제강소(인천 동구 송현동 소재)에 2011년 4월부터 총 1,900억원을 들여 연산 120만톤 규모의 철근 공장을 건설해왔으며, 설비 테스트를 거쳐 20일 시험 생산 단계를 밟고 있다.

신규 철근 공장은 추가적인 테스트를 거쳐 오는 9월경부터 상업생산에 돌입할 목표이다.

신규 공장에서는 최대 지름 57mm의 철근, 초고장력 철근(SD800), 내진용 철근(KS D3688) 등에 이르기까지 전 규격의 고부가가치 철근 제품을 연간 최대 120만톤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최대 규모(40m)의 수냉(水冷) 철근 설비를 도입해 고장력 철근 생산 효율을 극대화했고, 철근(지름 10mm 기준)을 초당 42m씩 압연할 수 있을 정도로 기존 철근 생산 속도의 한계를 돌파했다. 국내 철근업계의 철근 압연 속도는 초당 26m 수준이다.

동국제강 인천제강소는 현재 연산 65만톤 생산능력의 압연기(1호기)와 75만톤 생산능력의 압연기(2호기) 등 2기의 압연기에서 연간 최대 140만톤의 철근을 생산하고 있다.

동국제강은 오는 9월경에 상업생산에 들어가게 되면, 현재 가동 중인 1호 압연기(연산 65만톤)는 이번에 가동되는 연산 120만톤 규모의 신규 압연기로 대체된다. 또 2호 압연기(연산 75만톤)는 내년 중 80만톤 생산능력 규모로 합리화 할 예정이다.

또한 동국제강의 인천제강소는 2013년 하반기 기준 연산 200만톤 생산능력의 고효율 저탄소 배출의 친환경 철근 공장으로 거듭나게 된다.

동국제강은 EF(Eco-Friendly, 친환경)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09년부터 2단계에 걸쳐 인천제강소의 비효율 노후 설비를 고효율 저탄소 배출 설비로 대체해왔다.

1단계로 쇳물을 생산하는 전기로 부문을 2010년 10월까지 연산 120만톤 생산능력의 친환경 전기로(에코아크 전기로, eco-arc)로 대체했다. 전기 사용량을 기존 방식보다 최대 30% 줄일 수 있는 국내 최초로 도입된 신개념의 설비다.

2단계로 2011년부터 연산 120만톤 생산능력의 최신 고효율 철근 압연공장으로 노후 설비 대체를 추진해왔고, 국내 최고 효율의 설비를 도입하고 20일 시운전을 시작한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