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생태계에 맞서 스마트폰 시장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1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아마존은 아시아 지역의 부품 업체와 함께 스마트폰 개발을 진행 중이며 이미 성능시험 단계에 들어간 상태다.
현재 아마존과 스마트폰 개발을 위해 협력중인 부품업체는 대만의 폭스콘 인터내셔널 홀딩스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아마존의 스마트폰 출시가 이후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도 시장의 관심사다.
아마존이 콘텐츠 플랫폼을 빠르게 육성하면서 모바일 시장에서 생태계 강화를 구축하고 있는 가운데 애플에 맞설 거대 생태계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애플과 삼성이 양분하고 있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아마존의 등장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앞서 아마존은 지난해 저가형 태블릿PC인 ‘킨들파이어’를 출시하며 애플의 아이패드를 위협 하는 등 모바일 기기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킨 바 있다.
당시 아마존은 기기 자체의 판매수익보다 태블릿PC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 수익을 얻는데 중점을 뒀다.
이에 따라 향후 출시될 스마트폰의 가격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구나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중국을 비롯한 신흥 시장을 공략할 가능성도 제기된 상황이다.
한편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의 스마트폰이 빠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쯤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며 스마트폰의 사이즈는 4~5인치 사이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