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수족구병 '손씻기'로 예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16 17: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손 씻기(손 위생)’만 잘해도 신경계 질환을 동반한 수족구병을 예방할 수 있다.

수족구병은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이므로 예방접종 백신이 없다.

한번 감염되면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생기긴 하지만, 다른 균주에 의해 감염되면 다시 수족구병을 앓게 될 수도 있다.

박호진 을지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수족구병은 손발에 묻은 바이러스를 통해 전염되므로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후에는 반드시 양치하고 비누 혹은 손 소독제를 사용해 손을 자주 깨끗이 씻고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는 한편 물은 끓여먹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또 "공동으로 사용하는 장난감은 물로 자주 헹구고 아이가 입으로 물었거나 침을 묻힌 장난감을 다른 아이가 가지고 놀지 않게 주의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올해 수족구병 국내 첫 사망 사례가 지난 12일 발생했다.

경남지역에서 고열과 두통, 구토, 경직, 호흡곤란 등의 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다 사망한 31개월 여아의 사망 원인이 수족구병으로 확인된 것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수족구병에 의해 매년 1~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소아건강관리에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수족구병은 여름철 흔히 발생하는 손(手)과 발(足)의 수포성 발진과 입(口)안 물집, 궤양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생후 6개월에서 5세까지의 영유아들이 주로 걸리는데 어린 아이일수록 면역력이 약해서 심하게 앓게 된다.

증세가 수두와 비슷하지만, 수두는 물집이 몸통에 주로 생기는데 비해 수족구병은 손·발·입·엉덩이 부위에 생기며 흉터가 거의 없다는 점이 다르다.

수족구병은 감염 후 3~5일 동안의 잠복기가 지나면 미열, 식욕부진, 콧물, 인후통 같은 초기증상이 나타난다.

입 안의 인두는 빨갛게 부어오르고 혀와 볼 점막, 후부인두, 구개, 잇몸과 입술에 수포가 나타나기도 한다.

발진은 3~7mm 크기의 수포성으로 손바닥과 발바닥보다는 손등과 발등에 더 많다.

엉덩이와 사타구니에도 발진이 나타날 수 있고, 엉덩이에 생긴 발진은 주로 수포를 형성하지 않는다.

수족구병은 대개 장내(腸內) 바이러스인 콕사키바이러스 A16(Coxsackie Virus A16) 또는 엔테로바이러스 71(Entero Virus 71)에 의해 발병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그 외에도 콕사키 바이러스 A5, A7, A9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수족구병은 전염성이 강해 놀이방이나 유치원 등 보육시설을 통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번져나가는 특징이 있으므로, 열이 없어지고 아이의 상태가 좋아질 때까지 보육시설에 보내지 말아야 한다.

첫 증상이 나타난 후 수포성 발진이 사라질 때까지가 전염성이 가장 높은 시기이므로 주의해야 하며, 대변 속에 배출된 바이러스는 수 주일이나 전염력을 갖고 있으므로 감염된 아기의 변이 묻은 기저귀를 아무렇게나 버려서는 안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