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위원장은 첫 질문부터 ‘정두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 사태’ 이후 벌어진 ‘사당화 논란’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저와 모든 의원들이 모여서 내린 결정이지, 개인의 이득을 위해서 한 것도 아니다”라며 “사당화라는 말은 문제의 본질을 비켜가는 일”이라고 강한 어조로 반박했다.
동생인 지만 씨 부부가 삼화저축은행과 관련해 의혹이 제기됐을 당시 박 전 위원장의 태도와 ‘정두언 복도 발언’ 당시의 태도가 다르다는 지적에는 “(동생이) 무슨 문제가 있으면 검찰에서 말이 나와야 하는 데 없었고 이거(체포동의안 포기)는 제가 비대위에서 약속한 것”이라며 두 사안의 차이점을 설명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답변이 길어지자, “설명이 잘 됐는지 모르겠다”면서 어색한 웃음을 짓기도 했다.
특히 5·16 군사쿠데타에 대해 “돌아가신 아버지로서는 불가피하게 최선의 선택을 한 게 아닌가라고 생각한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해 논란이 예상된다.
박 전 위원장은 “5·16이 오늘의 한국이 있기까지 초석을 만들었다고 본다”면서 “그러나 반대의견을 갖고 있는 분도 있는 만큼 이 문제를 놓고 ‘옳으니 그르니’ 하는 것보다 국민과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친인 故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끌었던 ‘유신 체제’에 대해서도 “그 시대에 피해를 보고 고통 받은 분들과 가족분들에게 항상 죄송스러운 마음이 있고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지금도 찬반논란이 있으니 국민과 역사의 판단에 맡길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박 전 위원장의 이같은 입장은 5·16쿠데타를 ‘구국 혁명’에서 ‘최선의 선택’으로 표현 수위를 낮췄을 뿐, 지난 2007년 대선후보 경선에서 밝힌 내용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는 것이다.
그러면서 유신체제 피해자들에게 다시 한 번 사과한 것은 역사인식에 대한 논란을 피해가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또 박 전 위원장은 정수장학회 문제에 대해선 “정부도 (유가족에게 돌려주지) 못한 걸 제가 이사장도 아니고 그걸 제게 해결하라고 하면 저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모른다”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