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회의에서 7월 임시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대기업 집단의 책임이 가장 무겁고, 대기업 총수들의 의식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대기업 총수들에게 “졸부 같은 행태는 국민을 실망시킨다”고 직격탄을 날려 ‘고강도 개혁 드라이브’를 예고했다.
이어 “특수 관계인에 대한 부당지원 행위 등에 대해서는 민ㆍ형사상 책임을 확실하게 묻는 등 엄격한 법 집행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전문경영인 체제를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면서 “골목상권 등 소상공인 영역의 무차별적 잠식, 납품단가 후려치기, 기술탈취 등 탐욕에 의한 횡포는 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법·제도개선에 대해서도 “소액주주, 하청업체, 소비자, 비정규직 등 경제적 약자에 대한 대기업의 부당·위법행위를 정부가 일상적으로 개입해 해결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면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나 집단소송제도 등과 같이 보다 구체적이고 확실한 제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나 그는 “대기업 집단을 비롯한 경제 문제를 이분법적 사고로 바라보고 싸움을 부추기는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제대로 된 해법을 찾을 수 없다”며 “대기업을 일방적으로 매도하고 타도의 대상으로 ‘융단 폭격’하는 것은 올바른 해결책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11일 ‘정두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에 따른 책임을 지고 물러난 지 닷새 만에 공식 업무에 복귀한 이 원내대표는 “나도 조직의 일원이기 때문에 당의 명령은 계속 거부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리게 됐다”고 복귀의 변을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본회의에 앞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들에 대한 사과는 끝이 났지만 정 의원이 체포동의를 받은 것과 똑같은 상황에서 (검찰) 조사를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문제나, (정 의원의) 탈당 등 우리 당의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확실히 이행되길 바란다”고 말해 정 의원에 대한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