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지사는 18일 불교방송 라디오 '고성국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모바일이든, 직접 신청이든 다 똑같이 해서 1인 1표로 돼 있다"며 "어떻게 보면 특정 연령이나 정파가 좌지우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투표 50%, 모바일투표 50% 정도로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상임고문이 이를 받아들일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문 후보가 받고 안 받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룰이라면 최고위원회에서 의안을 받아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내다봤다.
또 전날 문 상임고문이 결선투표제 도입을 수용한 것에 대해 "큰 결단을 해서 경선을 역동있게 해서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민심과 당심이 많이 반영돼 역동적 후보를 만들 수 있는 룰을 만드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첫 경선지인) 제주 경선을 좀 주목해달라고 하고 싶다"며 "제가 아래부터 시작했고, 제주부터 시작해 동남풍을 불게 하겠다"고 자신했다.
한편 김 전 지사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천정배 전 의원을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김 전 지사 캠프는 원혜영 의원과 천 전 의원의 '투 톱' 공동선대위원장 체제로 꾸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