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금융이 우리금융을 합병하려는 이유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메가뱅크(Mega Bank)를 만들기 위해서다. 국내에서 내로라하는 두 시중은행을 합치면 보다 경쟁력이 강한 은행이 탄생할 것이란 계산이다. 그러나 수학이 아닌 현실에선 항상 '1+1=2'가 성립되는 게 아니란 사실을 간과한 듯하다.
시너지는 두 회사가 서로 부족한 부분을 충족시켜 줄 수 있을 때 극대화되기 마련이다. 비슷한 수준에서 같은 일을 하는 두 회사가 힘을 합치면 시너지가 아니라 자칫 충돌이 생기고, 오히려 부작용을 양산할 수 있다. 두 회사의 노조가 입을 모아 메가뱅크 반대 목소리를 내는 것에 쉽게 공감이 가는 이유다.
굳이 합병 효과를 논리적으로 분석할 필요없이 거리에 즐비한 두 은행의 지점만 살펴봐도 느낄 수 있다. 조금만 번화한 곳이면 국민은행 옆 몇 미터(m) 안되는 곳에 우리은행도 있다. 그럼 두 은행이 합병을 할 경우 중복되는 지점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두 은행의 노조는 "전국적으로 점포 700여개가 중복되고 회사의 성격 또한 비슷한데 무슨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겠냐"고 주장한다. 구조조정이 예상되는 것은 당연하다. 모두 잘 되자고 추진하는 메가뱅크인데, 노동자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안타까운 현실이 펼쳐질 것으로 우려된다.
경쟁력이 약하거나 부실 덩어리인 기업들은 사회 전체를 위해 더 늦기 전에 퇴출되거나 다른 회사에 흡수되는 게 마땅하다. 또는 특정 부분에서 힘이 조금 부족한 회사들은 합병을 통해 경쟁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하지만 KB금융과 우리금융 합병의 경우는 다르다. 두 금융지주를 합쳐 시너지를 창출하고 메가뱅크를 만들겠다는 계획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는 사실을 직시해야겠다. 덩치가 크다고 힘이 강하란 법은 절대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