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갑 대표는 6일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새로운 대중적 진보정치 재건의 길을 가겠다"면서 "통진당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해서 진보정치가 이렇게 죽도록 내버려 둘 수 없다. 재건을 위해 남은 길은 통진당을 뛰어넘는 새로운 대중적 진보정당의 건설"이라고 밝혔다.
분당과 탈당의 기로에 직면한 신당권파가 사실상 당 밖에서의 재창당을 선언한 것이다.
강 대표의 이날 입장 표명은 전날 통진당 참여당계와 통합연대(진보신당 탈당파), 강 대표가 속한 민주노동당 비주류가 탈당 후 신당 창당에 공감대를 형성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는 참여당계의 유시민 전 대표와 천호선 최고위원, 강동원 의원, 통합연대의 심상정 전 원내대표와 노회찬 의원, 인천연합 등 민주노동당 비주류의 김성진 전 최고위원 이정미 최고위원, 민주노총 출신의 조준호 전 대표, 서기호 의원이 참석했다.
이들은 '혁신진보정치 추진모임'을 만들기로 합의했으며, 이 모임을 통해 탈당 및 창당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당장에 탈당하지는 않고 당내 혁신을 요구하면서 세 결집 등의 작업을 통해 새진보 정당의 밑그림을 그려가면서 '짜임새 있는 퇴각'을 준비할 계획이다.
강 대표는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새로운 정당 건설은 더 이상 주저하거나 주춤거릴 수 없다. 즉각 추진해나갈 것”이라며 "탈당은 아니고 통합진보당 당원의 의견을 묻고 동시에 안과 밖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분당이라고 예단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다”면서도 구당권파가 기존 입장을 고수할 경우 “단호히 결별을 선언하겠다고 말할 수 있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새 진보정당 창당이 실제 성사되기 위해서는 신당권파가 여러 주체인 만큼 조직적으로 움직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따라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박원석 정진후 서기호 등 비례대표 의원들이 탈당 시 의원 자격이 상실되는 점도 고민거리다.
이에 따라 신당권파가 민주노총의 지지를 받아 창당 작업에 탄력이 붙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5월 민주노총은 통진당의 쇄신을 요구하며 조건부로 지지를 철회했기 때문이다.
오는 13일 예정된 민노총 중앙집행위원회의에서는 통진당과의 관계설정 문제가 회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예상돼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