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오시티는 로버 다리와 화성 표면이 뚜렷하게 찍힌 사진을 전송했으며, 이는 인류 최초로 화성에 직접 착륙해 사진을 보낸 것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6일(한국시간) 큐리오시티가 이날 오후 2시 24분께 화성 대기권에 진입해 7분 뒤인 31분에 지표면에 착륙했다고 밝혔다.
NASA 측은 대기권에 진입한 후 2시 25분 가이드 유도에 잡힌 큐리오시티가 30분에 낙하산을 전개했으며 이후 열차단막이 분리됐고 31분에 목표지점에 정확히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33분에는 작동교신에 성공했다.
착륙지점은 주변에 물 등 생명체의 흔적이 많은 화성의 적도 인근 게일분화구이다.
길이 3m, 무게는 1t의 큐리오시티는 NASA가 25억 달러(한화 약 2조 8000억원)를 들여 제작한 로봇으로 앞으로 687일 동안 화성에 머물면서 흙과 암석을 채취해 생명체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물과 같은 환경을 찾게 된다.
머무르는 동안 생명체 흔적을 조사하며 컬러 사진과 함께 영상도 지속적으로 지구로 보낼 예정이다.
큐리오시티에는 화성의 토양과 암석을 채취할 10개 첨단기기와 큐리오시티의 눈 역할을 맡은 '마스트 카메라'가 부착됐다.
이 카메라는 2메가픽셀 컬러카메라 2대로 스틸사진뿐만 아니라 동영상과 3D 이미지도 기록할 수 있다.
'케미스트리앤카메라'는 암석을 자를 수 있는 레이저와 최대 7m 떨어진 지점을 볼 수 있는 망원경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 큐리오시티의 팔에는 암석과 토양의 화학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첨단 엑스레이 기기가 장착됐다.
이번 착륙 성공은 인간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편 큐리오시티의 착륙과정은 NASA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 중계됐다.
큐리오시티는 지난해 11월에 우주로 발사돼 8개월간 약 2억5000만㎞의 일정을 거쳐 화성에 무사히 착륙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