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은 오는 16일 이사회를 열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재단의 기부행위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유권 해석한 것을 논의할 계획이다.
안 원장 측과 재단은 우선 기부 활동을 대선 이후 시작하는 데 무게를 두는 분위기로 알려졌다.
원칙적으로 재단명을 바꾸면 활동을 할 수 있지만, 합법적 틀 내에서 재단을 운영할 수 있는 요건이 까다로워 선거법 위반 논란을 피해가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박영숙 안철수 재단 이사장은 “선거가 4개월밖에 남지 않은 것은 다행”이라며 “4개월을 더 준비하면 더 확실하게 재단 활동을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원하는 분야에 지원하도록 광장을 만드는 등 여러 창의적인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면서 “이런 부분을 실행하는 데 준비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강조했다.
그는 “안철수 재단이 안 원장에게 걸림돌이 되지 않으면서, 재단은 재단대로 커나가야 한다고 본다”면서도 “이사회가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출연자에게 굳이 허락을 받을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다만 박 이사장은 “당장 큰 활동을 하려 하면 재단명을 바꿔서라도 하는 게 고려할 수 있는 방안 중의 하나”라고 말해 재단 명칭을 변경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