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후보는 이날 출입 기자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어떤 (기업의) 경우에 10조원 이상이 들어야 한다면, 그 10조원을 일자리에 주는 것이 국민에게 더 도움이 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삼성 등 ‘기존’ 대기업의 순환출자의 가공의결권까지 금지해야한다는 당내 일각의 주장에 ‘신규’에 한해서로 못을 박은 것이다.
앞서 황우여 대표도 이날 오전 재벌의 지배구조 개선에 관련해서 “신규순환 출자 금지를 우선 추진하면서 국민적 공감대 아래 합리적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박 후보의 의견에 힘을 실은 바 있다.
박 후보는 “당론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제 하면서도 “기존 순환출자는 사실은 허용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박 후보는 대기업의 사회적 역할도 촉구했다.
그는 “경제 주체간 격차가 벌어지면 우리 공동체도 무너진다”며 “소상공인, 중소기업, 대기업 등 모든 경제 주체들이 누구든지 노력하면 발전할 수 있는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경제 환경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대기업이 지배력을 남용해 골목상권까지 들어가 소상공인들이 문을 닫거나, 중소기업과 거래하면서 ‘단가 후려치기’를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박 후보는 또 대표적인 진보 경제학자인 장하준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의 대선 캠프 영입설에 대해선 “언론에 ‘누구를 만났다더라’ 그런 얘기는 다 개인적으로 하는 것”이라며 “모르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최근 잇따른 아동 성폭행 사건을 계기로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는 사형제 존속 문제와 관련해선 “사형제 폐지 움직임이 있었을 때도 저는 신중하게 고려할 일이지 폐지할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면서 “인간이기를 포기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흉악한 일이 벌어졌을 때 그 일을 저지른 사람도 ‘죽을 수 있다’는 경고 차원에서도 (사형제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새누리당 전·현직 의원들로 구성된 경제민주화실천모임은 전체회의를 열고 내주 초 ‘금산분리 강화’ 법안을 발의키로 했다.
이 법안은 현재 은행에만 적용되는 대기업에 대한 금산분리 규제를 증권·보험·카드 등 제2금융권으로 확대하자는 내용을 골자로 발의시 재계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