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금융 여신업 '헛발질'에 해마다 수억 날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9-10 16: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조준영 기자=한국증권금융이 2009년 여신전문금융업 진출을 추진하면서 일본 대부업체가 최대주주였던 DGB캐피탈(옛 메트로아시아캐피탈)에 80억원 가까이 출자했다가 기회비용으로 사실상 해마다 수억원씩 손실을 낸 채 연초 지분 전량을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금융은 김영과 사장 취임 무렵인 3년 전 금융투자업계 자금공급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가 일본계 대부업체와 캐피탈업까지 손을 댄다는 논란에 휘말리면서 출자 지분을 모두 처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0일 DGB금융지주가 금융감독원에 전월 말 제출한 반기보고서를 보면 유가증권시장에 속한 DGB금융지주는 앞서 1월 비상장 대부업체 DGB캐피탈 지분 100%(1220만주)를 1주당 5386억원씩 모두 657억1300만원에 인수했다.

이번에 사들인 주식에는 증금이 2009년 9월 1주당 5000원씩 모두 79억6000만원에 취득했던 DGB캐피탈 지분 13.05%(159만2000주)도 포함돼 있다.

증금이 지분을 보유했던 29개월 간 수익률은 모두 7.72%로 연환산시에는 3% 남짓이다. 이 회사가 일반 상장업체에 돈을 빌려줄 때 많게는 연 10%, 적게는 5% 내외 이율을 적용하는 점을 감안하면 80억원 가까이 DGB캐피탈에 출자했다가 해마다 수억원씩 기회비용을 날린 셈이다.

이런 손실은 증금에서 3년 전 DGB캐피탈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밝혔을 때부터 증권가에서 예상됐다. 10% 남짓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이 없는 신설 비상장사 지분을 상장 전에 단기 매각할 경우 제값에 팔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

증금 관계자는 "투자라는 게 양면성이 있어서 항상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기는 어려운 것으로 안다"며 매각가 적정성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애초 DGB캐피탈은 2009년 9월 일본 대부업체인 다케후지(41.73%), 아시아인베스트먼트(36.72%), 증금, 기타투자자(8.50%)가 자본금 100%를 납입해 세워졌다. 이 지분 전량을 연초 사들인 DGB금융지주 최대주주는 사우디아리비아 중앙은행(9.05%)이며 2대주주로 삼성생명(7.25%)도 출자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